로고


독립운동가 소개

조마리아 여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8-09-28 17:43 조회3,351회 댓글0건

본문

1862. 4. 8  ~ 1927. 7. 15

2008년 건국훈장 애국장  


" 옳은 일을 하고 받는 형 ()이니, 비겁하게 삶을 구걸하지 말고 대의에 죽는 것이 어미에 대한 효도다   "

아들아  나라를 위해 떳떳하게 죽으라 " 


생애 및 활동사항


◎ 가문배경

마리아는 안태훈과의 사이에 안중근(1879-1910), 안성녀(1881-1954), 안정근(1884-1949), 안공근(1889-1939) 31녀의 자녀를 두었는데, 이들은 모두 독립운동에 헌신하였다. 장남 안중근은 중국 하얼빈역에서 한국 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하였고, 차남 안정근은 북만주에 난립한 독립군단을 통합시켜 청산리전투의 기반을 확립하였다. 삼남 안공근은 백범 김구의 한인애국단을 실질적으로 운영하며 윤봉길과 이봉창의 항일의거를 성사시켰고, 딸 안성녀는 안중근의거 이후 일제의 탄압을 피해 중국으로 망명하여 손수 독립군의 군복을 만들었다. 실로 조마리아는 자식들을 모두 독립운동의 제단에 바친 장한 어머니였습니다.

 

◎ 민족교육운동과 국채보상운동의 추진  

1904년 러일전쟁의 발발로 대한제국이 위기에 처하자 안태훈과 안중근 부자는 중국에서 독립운동을 하기로 결심했습니다1906년 봄, 진남포로 돌아온 안중근은 동생들과 함께 민족의 실력을 양성하기 위한 애국계몽운동에 진력했습니다안중근이 국채보상운동에 매진하고 있을 때 모친 조마리아도 이에 적극 동참했습니다. 19075월 조마리아는 삼화항패물폐지부인회의 제2차 의연활동에서 은장도, 은가락지, 은귀걸이 등 20원 상당의 은제품을 납부하였다. 이 같은 정황은 일제의 한국 강점 이전부터 조마리아 역시 국권 회복을 위해 미력이나마 자신의 힘을 다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헌병대와 경찰서는 헌병과 경관을 파견하여 조마리아 여사를 추궁하였으나, 여사는 태연하게 자신의 아들 안중근은 진실한 애국자라는 점을 강조하며 오히려 일제의 추궁을 반박하였습니다. 


1910년 2월 14일 일제가 안중근에게 사형을 언도하자, 조마리아 여사는 분노를 표하며 “이토가 많은 한국인을 죽였으니, 이토 한 사람을 죽인 것이 무슨 죄냐”며 일제를 강하게 질타했습니다.


조마리아 여사는 죽음을 앞둔 안중근을 면회하지 않았습니다. 누구보다 당차고 의기로운 어머니였지만, 죽음을 앞둔 아들을 차마 만나볼 수는 없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조마리아 여사는 뤼순감옥으로 형을 면회하러 가는 아들들에게 이런 말을 전했습니다.


254FB64759599D013A

▲ 안중근 의사


네가 항소를 한다면 그것은 일제에게 목숨을 구걸하는 짓이다. 네가 나라를 위해 이에 이른즉 다른 마음 먹지 말고 죽으라. 옳은 일을 하고 받는 형(刑)이니 비겁하게 삶을 구하지 말고 대의에 죽는 것이 어미에 대한 효도다 "


또한 안병찬 변호사를 통해 “네가 국가를 위하여 이 지경에 이르렀으니 죽어도 오히려 영광이나 우리 모자가 현세에 다시 만나지 못하는 것이 참으로 안타깝다”는 말을 전했다고 합니다. 이어서 안중근의 사촌동생 안명근에게 수의를 보내 안중근이 이 옷을 입?고 최후를 맞이하도록 하였죠.


2459AD4359599D3337

▲ 뤼순감옥특별면회실에서 안중근과 홍석구 신부, 안정근, 안공근 두 아우와 면회 장면


1910년 5월 이후, 조마리아 여사는 아들을 따라 연해주로 망명하였습니다. 망명 이후 여사는 주변으로부터 ‘안중근의 모친’이라는 점에서 끊임없는 찬양과 주목을 받았다고 전해집니다.


246F474359599D450C

▲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

(뒷쪽 왼쪽 4번째가 안공근 선생)


1919년 3.1운동 이후 상해에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었는데요. 1922년 조마리아 여사는 상해로 이주하여 2남 안정근과 함께 지냈습니다. 가정형편이 어려웠음에도 불구하고 여사는 임시정부를 재정적으로 후원하기 위해 ‘임시정부경제후원회’를 창립하고, 위원으로서 임시정부 후원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습니다. 그녀는 백범 김구 선생의 어머니 곽낙원 여사와 함께, 상해 독립운동진영의 안주인이자 어머니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조마리아 여사는 1927년 7월 15일, 위암으로 인해 66세를 일기로 서거하였는데요.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08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습니다.


생전 ‘여중군자’, ‘여걸’이라는 평을 들었을 정도로 담대하고 의기로운 성품으로 독립운동을 지원했던 조마리아 여사. 이러한 여사의 인품을 토대로 한 가르침은, 힘든 상황에서도 자식들이 독립운동을 전개할 수 있게 해준 원동력이었습니다. 그간 자식들에 가려져 조마리아 여사의 독립운동은 잘 드러나 있지 않았습니다.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20-02-04 10:20:47 독립운동가 소개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20-02-04 10:24:14 지부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20-02-04 10:24:26 지부에서 이동 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