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독립운동가 소개

조소앙선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8-06-07 17:35 조회1,688회 댓글0건

본문

f39708f95db3c76824dd50730620ecb0_1528360660_33.jpg
 

1887~1958, 독립운동가, 정치사상가

1989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생애 및 활동사항 

      1902년 이하영 등의 매국음모를 막기 위하여 성균관에서 신채호 등과 성토문을 만들어 항의하였다. 1906년 동경유학생 친목단체인 공수학회를 조직, 회보를 발간하면서 주필로 활동하였다.

 

1909년 동경에 있는 조선인의 각 단체를 통합한 대한흥학회를 창립하여 회지 대한흥학회보의 주필이 되었다. 경술국치 때는 한일합방 성토문을 작성하고 비상대회 소집을 꾀하려다 발각되어 고초를 겪었다. 1911년 조선유학생친목회를 창립하고 회장이 되었다.

 

1912년 대학을 졸업, 귀국하여 교편을 잡다가 1913년 중국에 망명하여 신규식·박은식·신채호·정인보 등과 동제사를 박달학원으로 개편한 뒤 중국혁명가 천궈푸·황줴와 함께 항일단체 대동당을 조직하였다.

 

30세 전후에는 민족대동단결의 정신적·종교적 통일을 위하여 육성교를 제창하고, ‘주권불멸론’·‘민권민유론의 취지를 1917년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개최된 국제사회당대회에 한국문제의 의제로 제출하여 세계를 놀라게 하였다.

 

1919년 이른 봄 만주길림에서 무장항쟁노선이 집약된 대한독립선언서를 기초하여, 독립운동 지도급인사 39인의 공동서명으로 발표하여 내외에 그 영향력을 크게 떨쳤다.

 

19193·1민족항쟁에 즈음하여 대한독립의군부를 조직, 부주석으로 선출되고, 한성정부 교통부장에 추대되었다. 4월 상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여 민주공화제헌법의 기초를 비롯한 임시정부의 국체와 정체의 이론정립 및 임시정부의 대외홍보 전반에 걸쳐 주역으로 활약하였다. 임시정부헌법·의정원법의 기초위원과 심사위원을 거쳐 초대 국무원 비서장을 역임한 뒤 국무위원에 선임되었다. 6월에는 파리에 도착하여 김규식과 외교면에서 괄목할 성과를 올렸다. 만국평화회의 대표단 지원을 비롯하여 만국사회당대회와 국제사회당집행위원회의 활동을 위하여 프랑스에서 스위스로, 또 네덜란드로 다니면서 한국의 자주독립과 그 당위성을 역설하였을 뿐만 아니라, 노동당 지도층 인사들과의 폭넓은 교유로 영국 하원에도 한국문제를 정식 제기하도록 활약하였다. , 파리에서 철학자 베르그송(Bergson,H.)과 만나고, 런던에서 인도의 타고르(Tagore,R.)와도 만났다.

 

유럽 순방에 이어 1921년 국제사회당대표단으로 러시아 각지를 시찰한 뒤 모스크바를 경유, 5월 북경에 와서 공산주의 비판인 만주리선언을 발표하고 상해로 돌아와 1922년 임시정부 외무총장·의정원의장이 되고, 세계한인동맹회 회장에 취임하는 한편, 김상옥을 국내에 밀파하여 의거하도록 하였다.

 

1930년 이동녕·이시영·김구·안창호 등과 한국독립당을 창당하였다. 독자적 이념체계인 삼균주의에 입각한 정강·정책의 태극기 민족혁명론을 제창하였는데, 삼균주의는 정치·경제·교육의 균등을 골자로 한다. 한국독립당의 대외선전 및 임시정부의 이론전개와 외교문제를 거의 전담하였다.

 

1934년 삼균주의를 국시로 한 대한민국임시정부건국강령을 임시정부 국무회의에서 채택하게 하였다. 1937년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를 결성, 1940년 한국독립당 부위원장으로서 창당선언에서 삼균주의를 다시 확립하고, 1942년 한중문화협회를 창설하여 중국 외교부장 쑨코와 손잡고 김규식과 공동 부회장으로 활약하였다. 1943년 한국독립당 집행위원장, 1945년에는 충칭 임시정부외무부장이 되었다.

 

광복을 맞아 121일 임시정부요인 2진으로 환국, 1946년 비상국민회의를 조직하여 그 의장이 되어 김구 주석과 함께 임시정부의 정통성 고수를 주장하였다. 비상국민회의가 국민회의로 개편되고 한국민족대표자대회와 통합을 이룰 때 다시 의장에 선출되었으며, 또한 반탁투쟁위원회 부위원장과 삼균주의청년동맹 위원장에도 추대되었다.

 

19484월남북협상차 평양에 다녀왔고, 12월 방응모·백홍균·조시원 등과 사회당을 결성하고 당수가 되었다. 19505·30총선에 서울 성북구에서 출마하여 34000여 표로 전국최고득표자가 되어 제2대 국회에 진출하였으나, 6·25전쟁으로 서울에서 강제 납북되었다. 19567월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최고위원을 역임하기도 했으나 국제간첩으로 몰려 숙청, 투옥된 것으로 알려졌다. 1958910일 사망했으며 70년대 말 평양시 신미리에 있는 애국열사릉에 이장됐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