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공지사항

[7월의 독립운동가] 김갑, 한흥교, 민제호 선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2-07-12 23:27 조회1,390회

본문

생몰연도 및 훈격

김   갑(金  甲,1889~1933), 건국훈장 독립장(1986)

한흥교(韓興敎,1885~1967), 건국훈장 애국장(1990)

민제호(閔濟鎬,1890~1932), 건국훈장 애국장(1990)

 

 

공적상세

국가보훈처(처장 박민식)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일제강점기 동제사(同濟社)에 가입한 김갑·한흥교·민제호 선생을 2022‘7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

 

ㅇ 동제사는 1912년 신규식 선생이 중심이 되어 상하이에서 조직된 최초의 독립운동 단체로, 상하이 한인들의 단결과 젊은 독립운동가들의 교육을 위해 박달학원을 설립하기도 했다.

 

부산 동래에서 출생(1889)한 김갑 선생은 19175월 베이징대학에 입학하기 위해 상하이로 건너가 동제사에 가입했다.

 

ㅇ 동제사의 박달학원에서 교육받고, 동제사 중견간부로 활동한 선생은 19194월 상하이에서 임시의정원이 수립되자 경상도 대표 의원으로 활약했으며, 임시정부에서는 교통부 위원, 군무위원회 이사, 법제위원회 위원으로서 초기 임시정부 안정화를 위해 힘을 쏟았다.

1933년 상하이의 프랑스 조계(租界)에 있는 광제의원에서 44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임시정부는 선생의 헌신에 보답하기 위해 국민장으로 장례를 치렀다.

 

부산 동래 출생(1885)의 한흥교 선생은 1910년 오카야마 의학전문학교를 졸업, 1911년 신해혁명 참여를 위해 상하이로 건너가 본격적인 항일운동에 투신했다.

 

ㅇ 신해혁명 국민군 참여를 계기로 신규식 선생 등을 만나 동제사가 결성될 때부터 가입·활동했고, 항저우 의학전문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동제사 동지들의 의료지원을 전담했다.

 

ㅇ 신채호 선생과 중외통신, 신광신보 등을 간행하며 독립운동의 정당성을 알리는데도 헌신한 선생은 1927년 국내 귀국 후 만주사변이 발발하자 만주지역 의료 활동과 함께 북경, 태원 등에서 병원을 운영하며 독립운동을 후원했다. 해방 후 귀국, 1967년 노환으로 숨을 거뒀다.

 

민제호 선생은 서울 종로에서 출생(1890), 한성영어학교 재학 중 국권을 빼앗기자(1910) 항일운동 참여를 결심, 1913년 상하이로 망명해 동제사에 가입한 뒤 한중우호단체인 신아동제사에서 대외 협력업무를 맡았다.

 

19194월 상하이에서 열린 임시의정원에서 69명의 의원에 선출된 후 대한적십자회와 대한인거류민단 등 대중단체에 참여해 임시정부의 독립운동을 지원했다. 1929년까지 임시정부 대외업무를 수행하며 자금모집 등의 협력업무도 담당했다.

 

1932년 한인애국단 단원인 윤봉길 의거로 일제의 탄압이 시작되자 상하이 임시정부와 함께 항저우로 피신했지만, 곧 병을 얻어 193242세의 일기로 사망했다.

 

정부는 선생들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김갑 선생에게 1986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한흥교 선생과 민제호 선생에게는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각각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