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공지사항

[5월의 독립운동가] 박원희, 김영순, 조복금 선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2-05-03 13:23 조회1,420회

본문

생몰연도 및 훈격

 

박원희 (朴元熙 1898 ~ 1928), 건국훈장 애족장(2000)

김영순 (金英順 1892 ~ 1986), 건국훈장 애족장(1990)

조복금 (趙福今 1911 ~ 미상), 건국훈장 애족장(2018)

 

 

공적상세

국가보훈처(처장 황기철)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박원희·김영순·조복금 선생을 20225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

ㅇ 근우회의 창립은 한국근대여성운동의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박원희 선생은 대전에서 태어나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부설 사범과를 졸업했다.

1921년 김사국과 결혼 후 함께 일본으로 3년간 유학하였다.

 

1924년 최초의 사회주의 여성단체인 여성동우회를 조직하고 중심인물로 활약하였다.

 

1925년 초 서울파 공산주의 그룹의 여성단체인 경성여자청년회를 조직하고 이를 이끌었다.

 

1926년 말에는 화요회계 여성단체인 경성여자청년동맹과 함께 통합적 사회주의 단체인 중앙여자청년동맹을 탄생시켰다.

이는 근우회 탄생의 밑거름이 되었다.

 

김영순 선생은 서울에서 태어나 정신여학교를 졸업하였다.

 

1915년 군산 메리볼덴 여학교 교사로 있다가 2년 후 모교인 정신여학교 사감으로 옮겨왔다.

ㅇ 이곳에서 1919년 결성된 대한민국 애국부인회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ㅇ 대한민국 애국부인회는 19199월에 이르러 김마리아 등을 중심으로 결사부·적십자부를 새롭게 꾸리는 등 조직을 탈바꿈하였다.

 

ㅇ 이때 선생은 서기에 선임되어 활약하였으나 191911월 그 조직이 드러나면서 선생도 함께 체포되어,

 

192012월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2년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ㅇ 출옥 후 태화여자관 교사를 거쳐 정신여학교 사감으로 재직하였으며, 1927년 근우회 창립을 이끌었다.

 

근우회 창립총회에서 21명의 집행위원이 선출되었으며, 박원희, 김영순 선생도 집행위원이 되었다.

 

ㅇ 박원희, 김영순 선생은 총회에 참여하여 근우회 활동 청사진이 될 8개 항을 결의하였다. 이날 부서 결정이 이루어졌는데 두 선생은 황신덕?김동준과 함께 교양부를 맡았다.

 

ㅇ 박원희 선생은 신간회 활동에도 참여했다. 신간회 본부의 정기대회 준비 활동, 신간회 경성지회 활동이 확인된다.

 

ㅇ 그러나 선생은 병고로 19281월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ㅇ 김영순 선생은 신간회 창립 및 제1회 집행위원회 활동 이후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지만, 박원희와 함께 교양부를 맡아 여성의 지위향상과 항일독립운동에 앞장섰다


조복금 선생은 경상남도 하동에서 태어났다.

 

19261월 진주여자잠업강습소를 졸업하였다.

 

ㅇ 이후 경남 하동에서 여성 청년단체 및 근우회 활동을 이끌었고, 19283월 개최된 하동청년동맹여자지부 제1회 정기대회에서 제영순과 함께 서무재정부 역원으로 선출되었다.

 

ㅇ 전국적인 통일기관이었던 근우회는 지역의 지회 결성에 노력하였다.

 

ㅇ 전국적으로 69곳의 지회가 결성되었다. 하동에도 19287월 근우회 하동지회가 결성되었고, 선생은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정부에서는 고인들의 공훈을 기려 박원희 선생에게 200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김영순 선생에게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조복금 선생에게 2018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각각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