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공지사항

[1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유관순 열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8-12-31 11:18 조회5,379회

본문

생몰연도 : 1902 ~ 1920

 

훈격 건국훈장 독립장 (1962)

 

공적개요


- 1919년 학생으로 서울 만세시위 참여

- 1919년 천안 아우내장터 만세운동을 주도하다 체포

- 1920년 3.1운동 1주년을 기념하는 옥중 만세시위 주도

- 1920년 고문으로 옥중 순국

 

공적상세

선생은 1902년 충남 목천군 이동면 지령리 (현재 천안시 병천면 용두리)에서 아버지 유중권(柳重權)과 어머니 이소제(李少梯) 사이의 5남매 중 둘째 딸로 태어났다. 집안에서 가장 먼저 개신교에 입문한 사람은 작은 할아버지 유빈기로 한글 성경을 파는 매서인이 되어 선교사를 이끌고 귀향했다고 한다. 이후 숙부 유중무가 개신교를 받아들이면서 일가친척들도 개신교인이 되었다.


다만 선생의 아버지 유중권은 일가친척이 모두 개신교로 개종하는 상황에서도 조상에 대한 의무 때문에 혼자서 제사 지내며 전통의 풍습을 지켜냈다. 그러면서도 유관순이나 장남 유우석이 교회에 다니는 것을 막거나 아이들을 신식학교에 보내는 것을 허락했다. 이러한 아버지 아래서 선생은 조상과 정신적 가치를 중시하는 유교적 문화도 받아들였고, 한편으로 교회에 다니며 자유와 평등의 기독교사상의 영향도 받았던 것이다. 숙부가 지령리 교회의 교사로 활동하면서 선생도 5세를 전후해 개신교를 접하였고, 이후 선생에게 교회가 배움터요, 놀이터가 되었다.


1907년 4월 시작된 국채보상운동이 전국으로 퍼져가자 1907년 8월 유중권, 유중무 등이 중심이 되어 목천 이동면 교인 82명과 함께 국채보상운동에 동참하였다. 이러한 집안과 향리의 애국적 분위기 속에서 성장한 선생의 의식 속에는 민족, 국가, 헌신 등의 가치가 자연스럽게 배어 들고 있었다.


선생은 공주에 왔던 감리교 순회 선교사의 주선으로 1915년 4월에 서울의 이화학당 보통과 2학년으로 편입하게 되었다. 당시 이화학당 교비생으로 추천받아 공부하게 되었으며, 1918년 3월 보통과를 졸업하였다. 1918년 4월 이화학당의 고등과 1학년에 진학하게 되었다. 이화학당에서의 생활은 프라이 교장의 보살핌 속에 근대 선진학문을 공부할 수 있었고, 또 먼저 입학한 사촌 언니 유예도(柳禮道)의 주선으로 선후배 학생들과 친해질 수 있어 행복한 시기였다. 행복한 학교생활 속에서도 선생은 조국과 민족에 대한 한결같은 사랑을 잃지 않았다. 그리하여 선생은 "난 잔 다르크처럼 나라를 구하는 소녀가 될 테다. 누구나 노력하면 될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나이팅게일처럼 천사와 같은 마음씨도 가져야지"하고 마음속으로 기도하면서 다짐하였다고 한다. 선생의 이 같은 조국애와 민족애는 곧 이어 전개된 3.1운동으로 꽃피게 된다.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 사정상 불참한 4인을 제외하고 태화관에 집결한 29인의 민족대표들은 역사적인 독립선언식을 거행하였다. 독립선언식은 민족대표들이 이종일이 가지고 온 독립선언서를 돌려보고, 한용운의 연설에 이어 만세삼창을 하는 것으로 간단히 끝났다. 하지만 탑골공원에서는 수천명의 학생과 시민이 모여 있다가 2시 30분경 독자적인 독립선언식을 거행하고, 곧 시가지로 물밀듯 밀려나가 만세시위를 전개함으로써 3.1운동의 불꽃을 지폈다. 시위대 중 일부는 덕수궁으로 들어가 광무황제의 영전에 조례를 올리기도 하였고, 프랑스 영사관에 들어가 한국인의 독립의사를 본국에 통고해줄 것을 요구하기도 하였으며, 미국 영사관 앞에서 독립을 요구하는 혈서를 들고 시위를 벌이기도 하였다. 이날 서울의 만세시위는 날이 저물도록 시내 도처에서 전개되었다.


선생 또한 이 같은 3.1운동 추진 계획을 이화학당 내의 비밀결사인 이문회(以文會) 선배들을 통하여 감지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선생은 3?1운동이 발발하기 바로 전날 서명학, 김분옥, 김희자, 국현숙 등 4명의 고등과 1학년 학생들과 시위 결사대를 조직, 만세시위에 참가하기로 굳게 맹세하였다. 드디어 3월 1일 탑골공원을 나온 만세 시위대가 학교 앞을 지나자 선생은 5명의 시위 결사대 동지들과 함께, "내가 있는 동안 너희들을 내보내 고생시킬 수 없다. 나를 밟고 넘어갈 테면 가라"고 하는 프라이 교장의 만류를 뿌리치고 뒷담을 넘어 시위운동에 동참하였다. 선생은 마치 잔 다르크처럼 구국의 화신으로 일제하 최대의 항일 민족독립운동이자, 민족혁명운동인 3.1운동의 한복판으로 뛰어들게 된 것이다.


3월 5일 선생은 5명의 시위 결사대 동지들과 함께 서울에서 전개된 최대의 시위운동인 남대문역(서울역) 만세 시위운동에도 참여하였다. 3.1운동 학생 대표였던 강기덕과 김원벽 등이 주도한 이 날의 만세 시위운동에는 선생을 비롯한 서울지역의 학생 거의 전부와 광무황제의 인산을 마치고 귀향하던 인사들이 대거 참여하였다. 그리하여 1만여 명에 이른 시위행렬은 인력거를 타고 '대한독립기'를 앞세운 강기덕과 김원벽을 따라 한 갈래는 남대문 시장으로부터 한국은행을 거쳐 보신각에, 다른 한 갈래는 남대문으로부터 대한문 앞과 을지로 입구를 거쳐 보신각에 이르렀다. 그리고 보신각에서 다시 하나가 되어 부르짖는 시위 군중들의 대한독립만세 소리는 지축을 흔들며 삼천리 방방곡곡으로 퍼져 나가 잠재된 한국 민중의 독립 욕구를 일깨워 갔다. 선생 또한 이 날의 만세 시위운동에 동참하여 민족 독립의 열기를 분출하며 항일 독립의지를 다져가고 있었다.


이 같이 학생들이 3.1운동에 대거 참여하고, 학교가 만세 시위운동의 계획 추진 기지가 되어 가자 조선총독부는 3월 10일 중등학교 이상의 학교에 대한 임시휴교령을 반포하였다. 이에 학교가 문을 닫게 되자 선생은 서울의 독립운동 소식을 고향에 전하고, 또 거기에서 만세 시위운동을 전개하기로 마음먹었다. 그리하여 선생은 3월 13일 사촌 언니인 유예도와 함께 독립선언서를 몰래 숨겨 가지고 귀향하여 본격적으로 고향에서의 만세 시위운동을 추진하여 갔다.

 

우선 선생은 동네 어른들을 찾아다니며 서울의 3?1운동 소식을 전하고, "삼천리 강산이 들끓고 있는데 우리 동네만 잠잠할 수 있느냐"고 하면서 만세 시위운동의 필요성을 설득하였다. 그리고 부친의 주선으로 감리교 동면 속회장인 조인원(趙仁元)과 이백하(李伯夏) 등 20여 명의 동네 유지들과 상의하며 만세 시위운동의 구체적 방침을 세워 나갔다. 그리하여 4월 1일(음력 3월 1일) 아우내[竝川] 장날 정오에 만세 시위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정하고, 계획 추진 총본부는 지령리(지렁이골, 현 용두리)에, 중앙 연락기관은 장명리와 백전리에 두기로 하였다. 이밖에도 천안장을 보러 다니는 안성,진천,청주,연기,목천 등의 각 면,각 촌에도 연락기관을 두고 대규모 만세 시위운동 계획을 추진하여 갔다. 특히 유림 대표들과 집성촌 대표들을 움직여 시위 참가 인원을 확보하도록 하고, 거사 당일에 사람들에게 나누어줄 태극기를 직접 만드는 등 만반의 준비를 갖추었다.


거사를 앞둔 3월 31일 선생은 지령리 매봉에서 내일의 만세시위를 약속하고 다짐하는 봉화를 올렸다. 그러자 선생과 연락이 닿았던 다른 여러 곳에서도 봉화를 올려 호응함으로써 서로 성공적인 거사를 기약하였다. 드디어 4월 1일 병천면 아우내 장날, 선생은 장터 어귀에서 밤새 만든 태극기를 나누어 주면서 만세 시위운동에 참여하러 모여드는 사람들에게 용기를 북돋아 주었다.


오후 1시 3천여 장꾼이 장거리를 뒤덮었다. 선생과 만세 시위운동을 주도적으로 추진하였던 조인원이 긴 대나무 장대에 매단 큰 태극기를 장터 한가운데 세우면서 아우내 장터의 만세시위 운동이 시작되었다. 조인원이 대표로 서울에서 숨겨 가져온 독립선언서를 꺼내어 낭독하고 "대한독립만세"를 고창함으로써 약식의 독립선언식을 가진 것이다. 그런 다음 선생을 필두로 3천여 명의 군중들은 "대한독립"이라고 쓴 큰 기를 앞세우고 태극기를 흔들며 만세 시위운동을 전개하여 갔다. 시위 대열이 아우내 장터 곳곳을 누비자 병천 헌병주재소의 헌병들이 달려와 총검을 휘두르며 만세 시위운동을 탄압하기 시작하였다. 나중에는 이들의 지원 요청으로 천안 일본군 헌병분대원들과 수비대원들이 도착하여 총검으로 시위 운동자들을 학살함에 따라 이 날 19명의 사망자와 30명의 부상자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 때 선생의 아버지 유중권이 "왜 사람을 함부로 죽이느냐"고 항의하다가 일본 헌병의 총검에 찔려 순국하였고, 이를 보고 남편의 원수를 갚으려고 달려 들다가 선생의 모친마저도 일본 헌병들에게 학살당하고 말았다. 이에 선생은 숙부인 유중무(柳重武)와 조인원,조병호(趙炳鎬) 부자, 김용이(金用伊) 등과 함께 군중들을 이끌고, 아버지의 시신을 둘러메고 병천 헌병주재소로 쇄도하여 항의 시위를 계속하였다.


유중무는 격분하여 주재소에서 두루마기의 끈을 풀어 헌병의 목을 졸라 매려고 하였고, 또 제지하는 헌병 보조원에게 "너는 보조원을 몇십 년이나 하겠느냐. 때려 죽이겠다"고 윽박질렀다. 선생 또한 고야마(小山) 주재소장의 멱살을 쥐고 흔들면서 "나라를 되찾으려고 정당한 일을 했는데 어째서 총기를 사용하여 내 민족 을 죽이느냐"고 일제의 만행을 규탄하면서 독립운동의 정당성을 밝혔다. 김용이는 주재소의 헌병 보조원들에게 "조선 사람이면서 무엇 때문에 왜놈의 헌병 보조원을 하느냐. 함께 만세를 부르라. 그렇지 않으면 죽여도 시원치 않을 놈들"이라고 호통치기도 하였다.


나아가 시위 군중들은 헌병들이 강탈했던 태극기를 도로 빼앗아 휘두르며 "죽은 사람들을 어떻게 할 것인가. 우리도 함께 죽이라"고 소리치며, "구금자를 석방하라"고 요구하면서 주재소를 습격할 태세를 보였다. 이에 헌병들은 재차 무차별 총격을 가하여 시위 군중들을 해산시킨 뒤, 그 날 저녁 선생과 유중무, 조인원,조병호 부자 등 시위 주동자들을 체포하여 천안헌병대로 압송하였다.


선생은 천안헌병대에서 갖은 고문을 받으면서도 처음부터 끝까지 자신이 시위 주동자라고 말하면서 죄 없는 다른 사람들을 석방하라고 호통치기도 하였다. 이후 공주감옥으로 이송될 때에는 군중들이 많이 모여 있는 곳을 지날 때마다 독립만세를 연이어 고창하여 불굴의 독립의지를 표출하기도 하였다. 특히 공주감옥에서 선생은 공주 영명학교에 다니면서 만세 시위운동을 주도하다가 잡혀 온 오빠 유우석을 만나게 되었다. 오빠 유우석도 1919년 8월 29일 공주지방법원에서 징역 6월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공주지방법원에서 진행된 재판과정 중 선생은 법정에서, "나는 한국 사람이다. 너희들은 우리 땅에 와서 우리 동포들을 수없이 죽이고 나의 아버지와 어머니를 죽였으니 죄를 지은 자는 바로 너희들이다. 우리들은 너희들에게 형벌을 줄 권리는 있어도 너희들은 우리를 재판할 그 어떤 권리도 명분도 없다"고 하면서 일제의 재판을 거부하는 당당함과 민족적 기개를 잃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선생은 5월 31일 공주지방법원에서 징역 7년을 선고받고 경성복심법원에 공소하였다. 이에 따라 공주감옥에서 서대문감옥으로 이감된 선생은 여기에서도 아침 저녁으로 독립만세를 고창함으로써 수감자들의 항일 독립의지를 고취하여 갔다.


선생은 6월 30일 경성복심법원에서는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지만 상고하지 않아 형이 확정되었다. 함께 재판받았던 아우내장터의 만세시위주도자들은 재판결과에 불복하여 상고하였으나 같은 해 9월 11일 기각되어 형이 확정되었다.


이후에도 선생은 서대문 감옥에서의 온갖 탄압과 고문에도 굴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옥중 만세를 불렀다. 특히 1920년 3월 1일 3.1운동 1주년을 맞이해서는 수감 중인 동지들과 함께 대대적인 옥중 만세운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이로 인해 선생은 지하 감방에 감금되어 야만적이고 무자비한 고문을 당하게 되었다. 선생은 고문으로 인해 방광이 터지는 중상을 입었으나 치료하지 못한 채 고문의 후유증과 영양실조로 1920년 9월 28일 오전 8시경, 서대문감옥에서 18살의 꽃다운 나이로 순국하고 말았다.


10월 12일에서야 선생의 시신을 이화학당에서 인수하였고, 10월 14일 정동교회에서 장례식을 치른 후 이태원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


정부에서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