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보도자료

[중도일보] 충절의 고장 충청, 어두운 역사 어떻게 보존할 것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0-06-29 13:34 조회8,155회

본문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일제 강점기 역사를 청산하고 애국수호의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충절의 고장인 충청에서 어두운 역사에 대한 보존 기준점 마련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국립대전현충원의 안장된 친일파 4인에 대한 ‘파묘’ 논란과 대전교육청 내 일본왕실을

상징하는 금송 이전 문제들이 불거지면서다.

지난 13일 (사)운암김성숙선생기념사업회는 국가보훈처 등과 함께 '친일 역사 바로 세우기' 역사 강의와

함께 친일파 4인에 대한 파묘 퍼포먼스를 벌였다.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에 의해 밝혀진 친일반민족행위자 11인 중 4명이 대전현충원에

안장돼있기 때문이다.

운암사업회 마정현 기획과장은 "늦었지만, 6·25 100주년이기도 한 올해 대전현충원 장군 묘역에 안장된

이들을 이장할 적기로 신속한 이장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립묘지에 친일파로 분류되는 4인의 파묘가 규정과 정서에 옳지 않다는 힘을 받고 있지만, 법률 개정이

우선돼야 하는 상황이다.

국가보훈처 관계자는 "옳고 그름의 문제보다는 법적인 문제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아직 남아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중2.png
일제 잔재가 남아 있는 곳 중 하나로 대전교육청 안에 있는 '금송' 문제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대전교육청에 심어진 일본왕실을 상징하는 '금송'은 초대 민선 교육감인 박경원 당시 대전직할시교육감과

교육위원들이 1993년 청사 준공기념으로 식수했다.

민족문제연구소 대전지부 등은 지난 3월 1일, "친일잔재를 청산하지 못한 채 국가의 주요 권력과 부는

친일파와 그 후손들이 차지하고 있는 부끄럽고 안타까운 현실"이라며 "그중 교육현장에 남아있는

잘못된 부분은 특히 먼저 청산해야 한다"라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런 논란 속에 금송의 이전은 최근까지도 계속됐는데, 대전시청 북문에 있던 금송은 2월 23일에

한밭수목원으로 이전됐다.


고 박정희 전 대통령이 1970년에 심었던 충남 아산 현충사 내에 있는 금송도 2010년까진

'고 박정희 대통령이 헌수한 기념식수목으로... 그대로 존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이유로 남아 있다가,

결국 2018년 문화재청이 이전했다.

       중3.png 

중4.png
이처럼 논란도 되지 못한 주변의 어두운 과거들이 여전히 남아 있는데, 그중 하나가 옛 충남도청에 있는

전두환 전 대통령 기념식수비다.

이 기념식수비는 1987년 2월에 설치됐는데, 6·10 민주 항쟁이 일어나기 직전에 전 전 대통령이 대전에

방문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옛 충남도청사에서 만난 박은식(48) 씨는 "아직 더러운 과거가 묻은 모습들이 주변 가까이에 남아 있는

줄 몰랐다"며 "관리하는 주체가 왜 처분하지 않고 있는지 이해가 안 된다"고 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역사의 어두운 면에 대한 보존과 파괴 사이에서 '홀대 전시'와 같은 방식으로 역사의

부분으로 잘 남겨두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대전문화유산 안여종 대표는 "일제강점기 때부터 남아오던 건물과 철도가 일제 잔재라고 해서 전부

철거할 수는 없다"며 "한밭교육박물관에 있는 ‘황국신민서사지주’는 의도적으로 쓰러트린 상태로

전시하고 있는데, 이런 홀대 전시로 교육적인 목적에 맞게 활용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현재 대전 동구 삼성동의 한밭교육박물관 입구엔 일제 강점기 조선인들에게 외우게 했던 맹세문

황국신민서사가 적힌 지주를 넘어트린 모습으로 전시하고 있다.


◎ 중도일보 이현제 기자

중5.png